국내학술지논문
고소미, 임종환, 김정목. 2011. 동결건조 쌀죽의 재수화 특성에 미치는 동결온도의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인쇄중)
고소미, 김정목. 2010. 생식원료 야채의 전처리공정에서 Hypochlorous acid의 미생물 제어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4): 637-642
이영재, 박정욱, 박인배, 신궁원, 조영철, 고소미, 강성국, 김정목, 김해섭. 2009. 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의 연령에 따른 육과 내장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6(6): 849-860.
김정목, 윤진호, 함경식, 김인철, 김학렬. 2009. 천일염 생산공정에서의 위해요소와 개선방안. Safe Food. 4(4): 6-13.
박정욱, 이영재, 박인배, 신궁원, 조영철, 고소미, 강성국, 김정목, 김해섭. 2009.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6(5): 686-698.
Hae-Seop Kim, Jeong-Wook Park, In-Bae Park, Young-Jae Lee, Jeong-Mok Kim, and Young-Cheol Jo. Optimiz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pathogens in grapefruit seed extract and a lactic acid mixture. 2009. Korean J. Food Preserv. 16(4): 472-481.
고소미, 김해섭, 조영철, 강성국, 김정목. 2009. 고추장 숙성전복의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8(6): 773-779.
박양균, 강성국, 정순택, 김동환, 김선재, 박재인, 김창혁, 임종환, 김정목. 2007. 해조류 가공식품 및 부산물을 이용한 제품개발.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2(3): 133-141.
이준설, 신미진, 박양균, 안영섭, 방진기, 김정목. 2007. 고구마 끝순 추출물의 항균 및 항돌연변이 효과. 한국작물학회. 52(3): 303-310
B.D. Lee, D. Kim, J.H. Kim, J.M. Kim, C.O Rhee, and J.B. Eun. 2006. The microbiological safety evaluation of foodservice facilities and side dishes in elementary schools and universities in the Jeolla-do region.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15(6): 920-924.
이병두, 김장호, 김정목, 김두운, 이종욱, 은종방. 2006. 병원급식소의 HACCP제도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5(3), 383-387.
최상진, 김정목. 2005. 현미 발아 방법이 색깔, 냄새 및 발아속도에 미치는 영향. 자연자원 연구회지. 5(2), 19-21.
박인배, 이태훈, 이수영, 정동욱, 박양균, 김정목, 정순택, 강성국. 2005. 알긴산을 이용한 코팅쌀의 개발 및 품질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2(6): 546-551.
박인배, 박정욱, 김정목, 정순택, 강성국. 2005. 연근 분말을 첨가한 된장의 품질특성 ( (Quality of soybean pasre (Doenjang) prepared with lotus root powder).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4): 519-523
신미진, 강성국, 김선재, 김정목, 2004. 양파껍질 추출물이 함유된 물간법으로 굴비 제조의 최적 조건 확립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condition in preparing Gulbi (salted and semi-dried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by brine salting with onion peel extract),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33(8): 1385-1389
신미진, 김정목. 2004. 굴비의 지방산 조성과 지방산화에 마늘과 양파즙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nd Onion Juice to Fatty Acid Compositions and Lipid Oxidation in Gulbi (salted and semi-dried Yellow croaker).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33(8): 1337-1342
김선재, 김현주, 문지숙, 김정목, 강성국, 정순택. 2004. 미역에 함유된 Fucoxanthin 색소의 추출 및 특성 (Characteristic and extraction of fucoxanthin pigment in Undaria pinnatifida). 33(5): 847-851.
김선재, 문지숙, 박정욱, 박인배, 김정목, 임종환, 정순택, 강성국. 2004. 다시마, 미역 및 멸치분말이 첨가된 된장의 품질특성 (Quality of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sweet tangle, sea mustard and anchovy powder). 33(5): 875-879.
강경금, 박난희, 김정목. 2004. 황 흡착 알긴산의 Lactobacillus acidophillus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및 항 돌연변이 작용 (The antimutagenic activity of sulfated alginate and its effect on the growth of Lactobacillus acidophillus).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 (4): 757-761.
윤미옥, 이승철, 임종환, 김정목. 2004. 추출조건에 따른 해조류의 알기난 수율과 점도 (Comparison of alginic acid yields and viscosity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from various seaweeds (Laminaria religiosa, Hizikia fusiforme, and Undaria pinnatifida).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 (4): 747-752
김선재, 문지숙, 김정목, 강성국, 정순택. 2004. 미역귀를 이용한 잼의 제조 (Preparation of Jam using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 (3): 598-602
Seung-Cheol Lee, Jeong-Hoon Oh, Yong-Il Hwang and Jeong-Mok Kim. 2002. Use of Exo-polygalacturonase to Improve Extraction Yields of Alginic Acid from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Nutraceuticals & Foods. 7 (3): 317-319
배성문, 박강주, 김정목, 신동주, 황용일, 이승철. 2002. 단감을 이용한 발효와인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weet Persimmon Wine). 한국농화학회지, 45 (2): 66-70
신미진, 강성국, 김정목. 2001. 고추장굴비의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 (Microbiological Changes and TBARS Values during Storage of Kochujang-Gulbi).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 (6): 1137-1141
강성국, 윤성원, 김정목, 김선재, 정순택. 2001. 무화과를 이용한 속성발효 멸치액젓의 품질 (Quality of Accelerated Salt-fermented Anchovy Sauce Prepared with Fig).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6): 1142-1146
배성문, 김정한, 조철우, 정태준, 김정목, 이승철. 2001. 맥강의 항산화능에 대한 Microwave의 영향. (Effect of Microwave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arley Bran). 한국농화학회지, 44 (4): 235-239
박우포, 조용범, 이승철, 김정목, 이미정. 2001. 녹미채 첨가가 김치의 숙성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Kimchi Quality a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oiled-Dried fusiforme).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 (5): 834-838
김정목, 2001. Biocide로서 이산화염소의 식품산업에 응용 (Use of chlorine dioxide as a biocide in the food industry). 식품산업과 영양, 6(2): 33-39
오정훈, 이경은, 김정목, 이승철. 2001. 과즙 첨가에 의한 골뱅이 내장젓갈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helk internal organ Jeotgal with the addition of fruit juice).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 (4): 641-645
오정훈, 이경은, 김정목, 이승철. 2001. Bromelain 첨가에 따른 골뱅이 내장 젓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whelk internal organ Jeotgal with the addition of bromelain). 한국식품과학회지, 33 (1): 78-83
김정목, 수산물에 이산화염소 처리에 따른 변이 원성 및 Chlorate 와 Chlorite ion의 결정, 목포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제 10집, pp.169-180, 2000년 12월